티스토리 뷰
목차
검진 결과지 보는 법|건강검진 수치 해석과 정상범위 총정리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후 결과지를 받아보면 수치와 기호가 가득해서 어디부터 봐야 할지 막막한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결과표에 표시된 수치 하나하나가 내 건강과 직결되는 만큼, 정확한 해석이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검진 결과지의 주요 항목을 읽는 법과 정상 수치, 재검 기준까지 항목별로 정리해드립니다.
검진 결과가 나왔는데 헷갈린다면 아래 항목부터 확인하세요
검진 결과지 기본 구조 이해하기
국가건강검진 결과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 항목명
- 검사결과 수치
- 정상참고치
- 판정 결과 (정상, 주의, 질환의심 등)
결과지는 색상이나 기호로 판정 상태를 구분하며, 붉은색 또는 노란색 경고 표시가 있으면 재검 또는 치료가 필요한 상태입니다.
주요 검사 항목 해석법
1. 공복혈당
- 정상: 70~99 mg/dL
- 주의: 100~125 (공복혈당장애)
- 고위험: 126 이상 (당뇨 의심)
2. 총콜레스테롤
- 정상: 0~199 mg/dL
- 경계: 200~239
- 고위험: 240 이상
3. 중성지방 (Triglyceride)
- 정상: 0~149 mg/dL
- 경계: 150~199
- 고위험: 200 이상
4. HDL (좋은 콜레스테롤)
- 정상: 남 40 이상, 여 50 이상
- 낮을수록 심혈관 질환 위험
5. AST / ALT (간 기능)
- 정상: 0~40 U/L 이하
- 40 이상: 간염, 지방간 의심
6. 혈압
- 정상: 120/80 mmHg 이하
- 주의: 120~139/80~89
- 고위험: 140/90 이상 (고혈압 의심)
7. 요단백
- 정상: 음성
- 양성: 신장 질환, 당뇨 합병증 가능성
8. 흉부 X선
- 정상: 폐질환 없음
- 이상소견: 결핵, 폐렴, 종양 등 가능성 → 병원 정밀검사 권유
9. 구강검진
- 치석, 충치 여부 표시
- 치주질환, 치아우식증 등 구강위생 평가
검사 수치가 높게 나왔다면 아래 정리를 참고해 보세요
주의사항
- 결과지는 검사일 기준 2주 이내 건강iN 또는 앱에서 확인 가능
- 주의 또는 질환의심 판정 시 가까운 병원에서 정밀검사 필요
- 검진 결과만으로 진단이 확정되지 않으며, 병원 진료를 통한 추가 검사가 필수
- 비정상 수치가 있어도 일시적인 영향(수면부족, 스트레스 등)일 수 있음
Q&A
Q1. 결과지에 ‘주의’가 떴는데 병원 가야 하나요?
A. 대부분 생활습관 개선 권장 수준이나, 항목에 따라 병원 진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Q2. ‘질환의심’ 판정이면 실제 병이 있다는 뜻인가요?
A. 가능성을 의미하며, 반드시 병원에서 정밀검사를 받아 확진 받아야 합니다.
Q3. 수치가 정상보다 약간 높으면 어떻게 하나요?
A. 검사 직전의 식사, 수면, 운동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2~3개월 후 재검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요약 및 마무리
건강검진 결과지는 숫자와 용어로 가득하지만, 핵심 항목만 파악하면 내 건강 상태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공복혈당, 콜레스테롤, 혈압, 간수치, 흉부 X선은 매년 모니터링이 필요한 항목입니다.
검진 결과가 나왔다면 단순히 ‘정상’만 확인하지 말고, 내 수치가 작년보다 좋아졌는지 나빠졌는지 비교해 보세요. 조기 발견과 관리가 가장 좋은 예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