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성인이 된 후 집중력 부족과 충동성으로 고민하고 계신가요? 성인 ADHD는 조기 발견할수록 일상의 질이 크게 개선됩니다. 전문적인 진단 전 자가진단으로 현재 상태를 정확히 파악해보세요.

성인 ADHD 자가진단 방법
성인 ADHD 자가진단은 DSM-5 기준의 18가지 증상 체크리스트로 진행됩니다.
각 항목을 0-3점으로 평가하며, 총 36점 이상이면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온라인 자가진단은 10-15분 소요되며, 최근 6개월간의 증상을 기준으로 평가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10분 완성 진단가이드
1단계: 주의력 결핍 증상 체크
집중력 지속 어려움, 실수 빈발, 지시사항 따르기 어려움 등 9개 항목을 체크합니다.
각 항목당 전혀 없음(0점)부터 매우 심함(3점)까지 평가하며, 6개월 이상 지속된 증상만 체크해야 합니다.
2단계: 과잉행동-충동성 증상 체크
가만히 있지 못함, 말을 많이 함, 차례 기다리기 어려움 등 9개 항목을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합니다.
성인기에는 내적 불안감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신중한 자가 평가가 필요합니다.
3단계: 결과 해석 및 조치
총합 36점 이상시 ADHD 가능성이 높으며, 18-35점은 경미한 주의력 문제, 17점 이하는 정상 범위입니다.
높은 점수가 나왔다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상담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자가진단의 숨은 장점
성인 ADHD 자가진단은 무료로 언제든 실시할 수 있어 경제적 부담이 없습니다.
집에서 편안한 환경에서 솔직하게 답변할 수 있어 더 정확한 자기 인식이 가능하며,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의 상담시 구체적인 증상을 설명할 수 있어 진료 효율성이 높아집니다.
또한 자가진단 과정에서 자신의 행동 패턴을 객관적으로 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됩니다.
진단시 꼭 피해야 할 실수
성인 ADHD 자가진단시 흔히 범하는 실수들을 미리 알고 피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특히 일시적인 스트레스 상황이나 우울증 증상을 ADHD 증상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현재 기분 상태가 아닌 평소 6개월간의 지속적 패턴으로 평가하기
-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답변 대신 솔직한 자기 평가하기
- 단순한 건망증이나 게으름과 ADHD 증상을 구분하여 판단하기
- 자가진단 결과만으로 확진하지 말고 전문의 상담 받기
- 여러 번 다른 시점에 진단해보며 일관성 있는 결과 확인하기
ADHD 자가진단 점수별 해석
자가진단 총점에 따른 해석 기준과 권장 조치사항을 정리했습니다.
점수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ADHD는 아니며,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 총점 범위 | 해석 | 권장 조치 |
|---|---|---|
| 0-17점 | 정상 범위 | 특별한 조치 불필요 |
| 18-35점 | 경미한 주의력 문제 | 생활습관 개선 권장 |
| 36-44점 | 중등도 ADHD 가능성 | 전문의 상담 권장 |
| 45점 이상 | 고도 ADHD 가능성 | 즉시 전문의 진료 필요 |